미디어 사회호기심만 자극하는 언론, 코로나 완치자는 뒷전? 11월 29, 2021 adminComment on 호기심만 자극하는 언론, 코로나 완치자는 뒷전? 황서현 기자 코로나 확진자 수를 다루는 기사는 많다. 그러나 완치자의 정확한 정보를 다루는 기사는 확진자
미디어 사회“잠깐, 그 단어 쓰기 전에 충분히 생각했나요?”… 신중한 방송 언어 사용의 필요성 11월 29, 2021 adminComment on “잠깐, 그 단어 쓰기 전에 충분히 생각했나요?”… 신중한 방송 언어 사용의 필요성 이수진 기자 ‘연쇄지뢰마’. 지난 7월 11일 방송된 SBS ‘런닝맨’에 사용된 표현이다. 금지어를 피해 퀴즈를 맞혀야
미디어프라이버시는 죽었다…디지털 시대의 이면 12월 30, 2020 adminComment on 프라이버시는 죽었다…디지털 시대의 이면 유지원 기자 “프라이버시는 죽었다”.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는 개인의 일상이 SNS를 통해 공유되고 퍼져나가는 디지털
미디어한국의 팩트체크, 중요한 것은 교육과 습관 12월 30, 2020 adminComment on 한국의 팩트체크, 중요한 것은 교육과 습관 신예진 기자 ‘인포데믹(infodemic), 정확한 출처나 과학적 근거가 없는 잘못된 정보가 전염병처럼 널리 퍼지는 현상 즉,
미디어사라진 댓글, 그리고 신종 어뷰징의 등장 12월 30, 2020 adminComment on 사라진 댓글, 그리고 신종 어뷰징의 등장 이예경 기자 수많은 연예인이 악성댓글(이른바 악플)로 인한 고통을 호소해왔다. 일부는 심한 우울증과 공황장애를 겪고 극단적인
미디어“SNS, 이용 안 해도 괜찮을까요?” 깊어가는 대학생의 SNS 이용 고민 12월 30, 2020 adminComment on “SNS, 이용 안 해도 괜찮을까요?” 깊어가는 대학생의 SNS 이용 고민 이수진 기자 서울예대 공연학부 서범준 씨(23)에게 SNS는 단순히 지인들과 소통하고 일상을 기록하는 수단 이상이다. 캐스팅
미디어‘또 속았네’…디지털시대를 살아가는 허위조작정보 12월 26, 2020 adminComment on ‘또 속았네’…디지털시대를 살아가는 허위조작정보 유지원, 황혜정 기자 서경대 국제비즈니스어학부에 재학 중인 장다빈 양(19)은 허위조작정보 때문에 골머리를 앓은 적이 있다.